본문 바로가기

생물에서온미네랄

(2)
미역과 다시마, 해조류의 미네랄 창고 [생물에서 온 미네랄 시리즈 ④] 미역과 다시마, 해조류의 미네랄 창고해조류는 진짜 미네랄 덩어리일까? 미역과 다시마 속에 숨은 칼륨·요오드·마그네슘의 역할과 흡수율, 주의사항까지 전문가 시선으로 정리합니다.바다의 채소는 왜 건강에 좋을까?건강을 조금이라도 챙겨본 분이라면 한 번쯤 “해조류는 미네랄이 풍부하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미네랄이 들어 있는지, 그 미네랄이 인체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막연한 경우가 많죠. 미역과 다시마는 바다 속 ‘자연산 미네랄 필터’로 불릴 만큼, 다량의 무기 미네랄을 흡수·저장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그 속에는 요오드, 칼륨, 마그네슘, 칼슘, 철분 등 다양한 영양소가 흡수 가능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죠. 이 글에서는 해조류 속 주요 미네랄..
전복 껍질이 미네랄 덩어리라고? [생물에서 온 미네랄 시리즈 3편] 전복 껍질이 미네랄 덩어리라고?전복 껍질이 단순한 바다의 껍데기가 아니라고요?칼슘과 마그네슘을 비롯한 다양한 미네랄이 담긴 생물성 소재의 과학적 활용 가능성을 소개합니다.바다의 껍질, 우리가 무심코 지나친 미네랄 창고바다에서 나는 전복은 고급 식재료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그 껍질은 대부분 버려지기 일쑤입니다.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전복 껍질이 칼슘, 마그네슘, 실리카 등 다양한 미네랄의 보고(寶庫)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특히 전복 껍질에 존재하는 무기 미네랄들은 인체에서 사용되기 위해 이온화 과정을 거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일부는 바이오세라믹 재료로도 활용되는 등 의료와 건강분야에서 그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복 껍질의 미네랄 성분을 분석하..